Spring boot Reference Guide 2
스프링 부트의 설정 파일들
스프링부트에서는 설정 파일을 추가 할 때 2가지 방법으로 추가 할 수 있습니다.
그림을 통해서 보면 쉽게 이해 할 수 있습니다.
1. Maven
2. Gradle
maven , gradle 각각의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한 화면입니다.
maven을 선택하면 pom.xml 파일을 사용해서 설정들을 추가하게 됩니다.
이 파일 안에 dependencies부분을 추가해서 작성하면 됩니다.
Dependencies 탭에서 Add를 클릭하고 설정을 추가 할 수도 있습니다.
gradle을 선택하면
build.gradle 에 설정 파일들을 작성하게 됩니다.
특히 dependencies 의 중괄호 {} 안에 compile()을 추가적으로 작성하게 됩니다.
앞으로의 제 강의에서는 maven , pom.xml 을 사용하는 방법을 중점적으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.
pom.xml 을 사용하는 것이 조금 더 편리하게 설정을 추가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gradle도 reference guide 문서에서 보면 gradle wrapper 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그리고 spring boot는 spring boot cli 라는 것을 제공하고 있는데
spring boot cli는 커맨드 라인에서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더 빠르게 생성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.
문서에서는 그 외에 Mac에서 스프링 부트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조금 다루고 있습니다.
정리하면 제가 이전 글에서 언급한 spring tool suite 와 spring boot cli 모두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방식의 한 종류입니다.
그리고 생성된 프로젝트 안의 설정 파일들은 maven 과 gradle 두 가지 방식으로 구성 할 수 있습니다.
저는 spring tool suite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, maven 으로 구성하는 방식을 앞으로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'Spring Frame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ing boot Reference Guide 4 (0) | 2018.03.28 |
---|---|
Spring boot Reference Guide 3 (0) | 2018.03.27 |
Spring boot Reference Guide 1 (0) | 2018.03.26 |
스프링 부트 1.5.10 문서 보면서 쉽게 시작하기 / 3. jsp , thymeleaf 살펴보기 , 만들기 (0) | 2018.03.19 |
스프링 부트 1.5.10 문서 보면서 쉽게 시작하기 / 2. 첫번째 프로젝트 만들고 실행하기 (0) | 2018.03.15 |
댓글